하드웨어 공부/Sound Gear

Shure Wireless system

timfactory 2025. 7. 31. 16:34

🎤 1. Shure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기본 구조

🔗 기본 구성

  • 송신기 (Transmitter): 핸드헬드, 바디팩 등 → 음성을 무선 전파로 전송
  • 수신기 (Receiver): 해당 전파를 수신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로 출력
  • 안테나(Antenna): RF 신호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
  • 주파수 밴드: 주로 UHF (470–952MHz) 사용. (국가별 규제 확인 필요)

🔄 2. 아날로그 vs 디지털 무선 마이크 시스템 (Shure 기준)

아날로그 (예: BLX, SLX-D 이전)
디지털 (예: QLX-D, ULX-D, Axient Digital)

 

신호 방식 아날로그 FM 변조 디지털 (AES256 등으로 암호화 가능)
음질 약간의 잡음 및 압축 존재 Full-bandwidth, CD급 음질 (20Hz–20kHz)
노이즈 RF 간섭, 헤테로다인 현상 등 발생 가능 디지털 변조로 노이즈 및 컴프레션 최소화
주파수 효율 채널 간 간격 필요 (인터리브 필요) 좁은 간격에서 다채널 운용 가능
대역폭 활용 제한적 (20~30채널 이하 안정권) 넓은 대역폭에서 최대 수백 채널 가능 (Axient 기준)
암호화 불가 ✅ 가능 (AES128 또는 AES256 암호화)
레이턴시 매우 낮음 (~0.3ms) 약간 존재 (~2.9ms–4ms)
가격 상대적으로 저렴 고가 (시스템 안정성 및 확장성에 비례)
 

🧰 3. Shure 주요 무선 시스템 모델 비교

 

BLX 아날로그 자동 스캔 약 12채널 중소형 강의, 교회
SLX-D 디지털 자동 스캔 + IR 싱크 약 32채널 학교, 공연장, 교회
QLX-D 디지털 주파수 매뉴얼 설정 가능 60채널 이상 방송, 기업, 전시
ULX-D 디지털 네트워크 제어 가능 100채널 이상 대형 공연장, 컨퍼런스
Axient Digital 디지털 RF 자동 백업, Dante 연동 100채널 이상 프로 방송, 투어링 시스템
 

⚠️ 4. 설치 시 주의사항

🛰️ A. RF 환경 확인

  • 사용 장소의 RF Spectrum(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필요
    • Shure의 Wireless WorkbenchRF Explorer 활용
    • DTV 방송 채널과 겹치지 않도록 주의

🛰️ B. 안테나 배치

  • 수신 안테나는 직선거리 10m 이내, 시야 확보 필수
  • 안테나 분배기(Antenna Distribution Unit) 또는 안테나 증폭기(Booster) 사용 시 신호 과포화 주의
  • 마이크 수가 많을 경우 반드시 분배기 + 파워 서플라이 사용 권장

🔌 C. 리시버 설치

  • 랙마운트 리시버: 전면 안테나 고정 또는 리어 안테나 연장 설치
  • 게인 구조(Gain staging) 주의:
    • 리시버 아웃풋 → 믹서 입력까지의 신호레벨(Mic/Line) 일치 확인 필요

🎚️ D. 주파수 그룹 설정

  • 동일 공간 내 다채널 운용 시:
    • Intermodulation-free 주파수 그룹 사용
    • Shure Wireless Workbench에서 자동 주파수 할당 추천

🔋 E. 배터리

  • 아날로그: AA 배터리
  • 디지털: Shure SB900 시리즈 (충전식 리튬이온) 또는 AA도 사용 가능
    디지털 모델은 배터리 상태까지 네트워크 모니터링 가능

📡 5. 무선 설비 기본 상식


 

UHF (Ultra High Frequency) 대부분의 무선 마이크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470–952MHz)
RF (Radio Frequency) 무선 신호의 주파수. 간섭 발생 시 노이즈, 드롭 발생
Intermodulation 서로 다른 RF 신호가 충돌해 생기는 가짜 신호(채널 간섭)
Diversity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해 신호를 자동 선택하는 기술 (Drop 방지)
True Diversity 2개의 수신 회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 → 더 안정적인 수신
Dante Shure ULX-D / Axient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오디오 전송 시스템
IR 싱크 송신기와 수신기 간 설정값을 적외선으로 동기화하는 기능
 

✅ 요약 정리


 

항목 아날로그 디지털
음질 약간의 노이즈 존재 고음질, CD 품질
RF 성능 채널 간 간섭 가능성 있음 효율적 채널 배치 가능
채널 수 12~24ch 안정적 60ch 이상 (ULX-D 기준)
보안 불가 AES 암호화 가능
가격 저렴 중~고가
권장 용도 강의실, 소규모 공연 방송, 전시, 대규모 이벤트

 

 

🚫 무선 마이크 시스템 운용 시 금기 사항 총정리

1. 📡 RF(무선 전파) 관련 금기

같은 공간에서 같은 주파수 대역 중복 사용 간섭(Intermodulation) 발생 → 드롭아웃, 노이즈, 신호 손실
임의로 주파수 수동 변경 장비 간 Sync 불일치 → 송신기와 리시버가 연결되지 않음
국가 규제 대역 위반 사용 불법 전파 사용 → 전파법 위반, 장비 압수 위험 (예: LTE와 겹침 주의)
무대 근처에서 Wi-Fi 공유기 ON 상태 유지 2.4GHz 사용 무선 마이크(예: Line6, Rode)일 경우 심각한 간섭 발생
 

2. 📶 안테나 관련 금기

리시버를 수직으로 겹쳐 놓기 안테나 음영 발생, 발열, 수신 감도 저하
안테나끼리 너무 가까이 두기 (5cm 이하) 안테나 간 상호 간섭 발생
송신기 안테나를 구부리거나 감싸기 전파 효율 저하, 출력 감쇠 (의상 속에 숨겨도 일정 거리 유지 필요)
안테나 분배기 없이 여러 리시버 병렬 연결 신호 손실, 반사 간섭, RF 입력과다 오류 발생 가능
 

3. 🔋 배터리 및 전원 관련 금기

금기 행동문제점
다 쓴 배터리를 재사용 (AA 또는 충전지) 출력 약화로 인한 RF 드롭 발생
AA 배터리와 충전 배터리 혼용 사용 잔량 표시 오류, 전압 불균형으로 오작동
공연 도중 배터리 교체 없이 계속 사용 갑작스러운 꺼짐 → 공연 중단 위험
충전 상태를 정확히 모르는 SB900 배터리 장착 예상보다 빠른 종료 발생 가능성
 

4. 🧩 설정/운용 관련 금기

송신기와 리시버를 다른 그룹/채널로 설정 후 사용 싱크 오류, 수신 실패
다수 채널을 수동으로 배치하며 인터모듈레이션 계산 생략 RF 충돌 → 예상치 못한 드롭 발생
한 공간에서 2개 이상의 무선 시스템 브랜드 혼용 시 무대 테스트 생략 RF 구조 상 충돌 가능성 증가
Shure 등 IR 싱크 기능을 무시하고 수동 매칭 시도 사람 손으로 하다 보면 실수 증가, 싱크 지연 가능성
 

5. 🎤 사용자 취급 관련 금기

송신기(바디팩)를 직접 만져서 안테나 방향 바꾸기 안테나 단선, 금속성 간섭 발생
핸드헬드 마이크 헤드 그릴을 손으로 감싸기 지향성 붕괴, 피드백 발생
송신기를 금속 재질 의상 안에 숨기기 전파 흡수 또는 반사로 송수신 오류
마이크를 바닥에 방치 송신기 충격, 안테나 손상
 

6. 🎚️ 시스템 설치/설정 관련 금기

금기 행동문제점
게인 구조를 맞추지 않고 믹서에 연결 노이즈 발생, 클리핑, 음질 저하
수신기 아웃풋을 라인레벨인데 믹서는 마이크레벨에 연결 오버 게인 발생 (혹은 신호 너무 작음)
라이브 전 RF 스캔 및 RF test 생략 주파수 간섭 여부 확인 불가 → 공연 중 장애 발생
모든 채널을 “자동 검색”으로만 설정 각 채널 간 상호 간섭 계산 없이 충돌 가능성 증가
 

7. 🔒 유지관리 및 보안 금기

펌웨어 미업데이트 최신 RF 환경 대응 불가 (특히 디지털 모델의 채널 계산 알고리즘 미반영)
장시간 미사용 상태 방치 배터리 누액, 접점 부식, 주파수 정책 변경 간과
리허설 없이 실사용 투입 현장 변수(건물 구조, 인원, 조명 등) 미확인 → 공연 중 장애 위험
 

✅ 정리 요약

주파수 설정 수동 변경, 중복 사용, RF 스캔 생략
안테나 겹침, 굴곡, 과도한 거리
배터리 재사용, 혼용, 교체 누락
사용자 취급 마이크 감싸기, 송신기 물리적 손상
설치/시운전 믹서 입력 미조정, 리허설 생략, 신호 감쇠 무시
 

'하드웨어 공부 > Sound Ge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dica Microline Speaker  (5) 2025.08.05
JBL CONTROL 65P/T  (6) 2025.08.05
RME Fireface UCX  (4) 2025.07.10
GENELEC 8010A  (0) 2025.06.24
GENELEC 4430A  (0) 2025.06.24